1. ETF 개요 (구성종목)
개요
ARKG는 ARK Invest에서 운용하는 ARK Genomic Revolution ETF로, 유전체학 혁신을 통해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이 펀드는 주로 생명공학, 의료 장비 및 기술, 제약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기본정보
운용자산: 1.7조원
운용보수: 0.75%(연)
괴리율: -2.6%
배당정보: 최근 지급X
구성종목
티커 | 기업명 | 핵심 사업 |
TEM | Tempus AI Inc | AI 기반 정밀 의료 플랫폼 개발 |
TWST | Twist Bioscience Corp | DNA 합성 기술 |
RXRX | Recursion Pharmaceuticals | AI 기반 신약 개발 |
CRSP | CRISPR Therapeutics AG | 유전자 편집 기술 |
ADPT | Adaptive Biotechnologies | 면역 시스템 분석 및 정밀 의료 |
GH | Guardant Health Inc | 암 조기 진단 및 액체 생검 기술 |
NTRA | Natera Inc | DNA 기반 질병 진단 |
CDNA | CareDx Inc | 이식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 |
SDGR | Schrodinger Inc | 컴퓨터 기반 신약 개발 |
BEAM | Beam Therapeutics Inc | 염기 편집 기술 |
구성종목에 낸시 펠로시(템퍼스AI), 드러켄 밀러(나테라) 등 유명 인사들이 투자하고 있는 종목이 들어있어 최근에 화제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2. ETF 성과
ARKG ETF는 변동성이 큰 성과를 보여왔습니다. 특히 유전체학 및 관련 기술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특성상 시장 상황과 기술 혁신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최근 성과:
- 최근 몇 년간 ARKG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2021년 초 고점을 찍은 후 기술주 전반의 조정과 함께 하락세를 겪었습니다.
- 2022년에는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등의 거시경제 요인으로 인해 더욱 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 하지만 2023년부터는 혁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면서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장기 성과:
- ARKG는 설정 이후 장기적으로는 벤치마크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하지만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 시 위험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투자 시 고려 사항:
- ARKG는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유전체학 분야에 투자하지만, 동시에 높은 위험을 수반합니다.
- 투자 결정 전에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투자 기간 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과거 성과는 미래 성과를 보장하지 않으므로, 투자 시 다양한 정보를 참고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3. 시장 전망 및 성장 가능성
차트에서도 알수 있듯, 엄청난 저금리 시대에 폭등하는 성과를 보였다가 현재는 고금리 상황으로 인해 다시 이전수준으로 되돌려진 모습입니다.
하지만 현재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무브먼트가 진행중인 만큼 마지막 단계는 결국 생명공학, 의료 분야가 AI의 주 활용분야이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특히 캐시우드는 가장 저평가된 섹터가 유전공학이라고 최근 언급했던 만큼, 해당 ETF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특정섹터에 몰려있는 ETF인 만큼 포트폴리오 자산 배분 관점에서 조커카드 역할을 기대할수 있는 소량으로 담아가야할 펀드라고 생각됩니다.
4. 매수/매도 타이밍 및 전략
현재가격은 차트에서도 알 수 있듯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며 저평가 된 상황으로 보입니다.
괴리율 또한 -2.6% 수준으로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괴리율에 대한 자세한 개념은 다음에 포스팅하겠습니다, 괴리율이 결국 맞춰진다는 전제 하에, 현재가격은 할인된 가격이라는 의미 입니다.)
2020년 이후 기준
최저가(21.97$) 대비 6.1% 상승
최고가(115.15$) 대비 79.7% 하락 상태로
대략적인 리스크 대비 리턴을 분석하자면,
리스크(최저가인 21.97$ 도달시) (-)6.1%,
리턴 (코로나 수준가격 인 115$ 도달시) (+)400%
으로 리스크 대비 리턴 프리미엄이 매우 좋은 상태라고 생각 됩니다.
물론 코로나 수준의 특수한 상황을 기대하면 안되겠지만, 보수적으로 해당 가격과 현재가의 1/3 지점을 설정한다면
아래와 같은 손절/익절가 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손절가(최저가로 설정) : 21.97$ -> (-)6.1%
익절가(코로나 수준과 현재가의 1/3 지점) : 53.67$ -> (+)130%
매수/매도에 대한 분석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며 참고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언제 AI과 결합된 유전공학 섹터가 주목받을지는 신도 모르는 영역이니 최소1~2년 이상의 장기투자가 필수적인 섹터라고 생각됩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템퍼스AI(TEM) - 낸시 펠로시가 선택한 주식(1편) (0) | 2025.03.02 |
---|---|
퇴직연금 ETF, 안전자산에 금이 없는 이유는 뭘까 (1) | 2024.10.22 |
FOMC CME 페드워치 보는법, 연준 점도표 보는 사이트 소개 (2) | 2023.03.28 |
미 유력매체, 7월 금리인상 1%p아닌 0.75%p 전망 (0) | 2022.07.20 |
댓글